시스템이 혼자 힘으로 하는 최초의 부팅을 전기 엔지니어들은 “스모크 테스트(smoke test)”라고 부릅니다.
시스템이 제대로 시작하지 않아도 당황하지 마십시오. 설치할 때 문제가 없었다면, 대부분은 데비안 부팅만 안 되는 비교적 작은 문제일 뿐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보통 다시 설치하지 않더라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은 설치 프로그램에 내장된 응급 복구 모드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8.7절. “손상된 시스템 복구하기” 참고.)
데비안 및 리눅스를 처음 접한다면, 좀 더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도움을 청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PowerPC처럼 많이 사용하지 않는 아키텍처의 경우에는, debian-powerpc 메일링 리스트를 이용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5.3.6절. “설치 보고 제출”의 설명에 따라 설치 보고서를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겪은 문제를 분명하게 설명하고 화면에 표시된 메세지를 모두 포함해 주십시오. 그래야 다른 사람이 더 쉽게 이 문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설치를 마친 다음 부팅이 실패하면, boot:
프롬프트에서 멈춰서 Linux
를 입력해보십시오. (quik.conf
안에 기본 부팅 설정이 Linux라는 레이블로 되어 있습니다.) boot:
프롬프트에서 Tab 키를 누르면 quik.conf
에 정의한 레이블 목록을 표시합니다. 설치 프로그램으로 돌아가 단계에서 설정한 /target/etc/quik.conf
파일을 바꿔서 부팅할 수도 있습니다. quik를 사용하는 여러가지 힌트는 http://penguinppc.org/projects/quik/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nvram을 리셋하지 않고 맥오에스로 다시 부팅하려면, OpenFirmware 프롬프트에서 bye
를 입력합니다. (맥오에스를 컴퓨터에서 지우지 않았다고 가정합니다.) 콜드 부팅하는 동안 command+option+o+f 키를 누르고 있으면 OpenFirmware 프롬프트가 나타납니다. OpenFirmware nvram을 리셋해서 맥오에스 기본값으로 돌아가려면 (다시 맥오에스 부팅으로 돌아가려면), 콜드 부팅하는 동안 command+option+p+r 키를 누르고 있으십시오.
설치한 시스템으로 부팅할 때 BootX를 사용한다면, Linux Kernels
폴더에서 원하는 커널을 선택하고, 램디스크 옵션의 선택을 해제한 뒤에 설치에 사용한 루트 장치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예를 들어 /dev/hda8
과 같이 씁니다.
G4와 아이북에서 option 키를 누르고 있으면, 부팅 가능한 운영 체제마다 단추가 하나씩 있는 그래픽 화면이 나타납니다. 데비안 GNU/리눅스는 작은 펭귄 아이콘이 들어 있는 단추입니다.
맥오에스를 계속 유지하는 경우 맥오에스에서 OpenFirmware의 boot-device
변수를 바꾸면, OpenFirmware를 기본값 설정으로 리셋해야 합니다. 리셋하려면 콜드 부팅하는 동안 command+option+p+r 키를 누르고 있으십시오.
boot:
프롬프트에서 tab 키를 누르면 yaboot.conf
에 정의한 레이블을 표시합니다.
G3 또는 G4 하드웨어에서 OpenFirmware를 리셋하면 기본으로 데비안 GNU/리눅스를 부팅합니다. (올바르게 파티션을 나누고 Apple_Bootstrap 파티션이 앞쪽에 놓여 있는 경우.) 데비안이 SCSI 디스크에 들어 있고 맥오에스가 IDE 디스크에 들어 있으면, 리셋해도 데비안으로 부팅하지 않을 것입니다. OpenFirmware에 들어가 boot-device
변수를 설정해야 합니다. ybin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이 변수 설정을 자동으로 합니다.
데비안 GNU/리눅스가 처음으로 부팅하면, /etc/yaboot.conf
에 (듀얼 부팅 옵션 등) 원하는 어떤 옵션이라도 추가 할 수 있고, ybin를 실행하면 바꾼 설정에 맞춰 부팅 파티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yaboot HOWTO를 읽어 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