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5. 데비안의 파티션 프로그램

데비안에서는, 여러가지 종류의 하드디스크와 여러가지 컴퓨터 아키텍처에 동작하는 여러가지 파티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다음은 이 아키텍처에서 사용활 수 있는 프로그램 목록입니다.

partman

데비안에서 권장하는 파티션용 프로그램. 이 만능 프로그램은 파티션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고, 파일 시스템을 만들고, 마운트 위치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fdisk

간단하고 널리 사용하는 전체 화면 파티션 프로그램.

cfdisk는 FreeBSD 파티션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시 말하지만) 장치의 이름이 다를 수도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mac-fdisk

매킨토시용 fdisk입니다.

디스크 파티션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위 프로그램 중 하나를 실행합니다. VT2에서 명령행을 이용해 다른 파티션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매킨토시용 디스크를 파티션할 때 주의할 점은, 스왑파티션을 이름으로 구분한다는 점입니다. “swap”이라는 이름으로 해야 합니다. 매킨토시용 리눅스 파티션은 모두 같은 타입으로 Apple_UNIX_SRV2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맥오에스와 디스크를 공유하려고 할 때 방법을 설명한, mac-fdisk Tutorial도 읽어 보십시오.

C.5.1. 최신 PowerMac 파티션하기

뉴월드 PowerMac에 데비안을 설치할 경우 부트로더를 저장할 전용 부트스트랩 파티션을 만드셔야 합니다. 이 파티션은 최소한 819200 바이트여야 하고 Apple_Bootstrap 파티션이어야 합니다. Apple_Bootstrap 파티션이 아닐 경우 하드디스크로 부팅이 안 됩니다. 이 형식의 파티션은 partman 프로그램으로 새 파티션을 만드신 후 “NewWorld boot partition”으로 설정하거나, mac-fdisk프로그램에서 b 명령을 사용하면 됩니다.

Apple_Bootstrap이라는 파티션 형식은 부트스트랩 파티션을 맥오에스에서 마운트해서 그 내용을 망가뜨리지 않으려면 필요합니다. 이 파티션은 OpenFirmware에서 자동으로 부팅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부트스트랩 파티션에는 작은 파일 3개만 저장하게 되어 있습니다: yaboot 바이너리, 그 설정파일 yaboot.conf, OpenFirmware의 일단계 부트로더인 ofboot.b입니다. 파일 시스템에 마운트할 필요도 없고 마운트해서도 안 되고, 커널이나 기타 다른 내용을 이 파티션에 저장해도 안 됩니다. 이 파티션은 ybin 프로그램과 mkofboot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OpenFirmware에서 데비안 GNU/리눅스가 부팅하려면, 부트스트랩 파티션이 다른 나머지 부팅 파티션보다 앞에 와야 합니다. 특히 맥오에스 부팅 파티션보다 앞에 와야 합니다. 부트스트랩 파티션을 가장 먼저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나중에 부트스트랩 파티션을 만든 경우에는 mac-fdiskr 명령을 사용해 부트스트랩 파티션이 파티션맵(파티션 1) 바로 다음에 오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인 주소의 순서가 중요한 게 아니라 논리적인 맵 순서가 중요합니다.

애플 디스크는 보통 여러 개의 작은 파티션으로 되어 있습니다. MacOSX와 듀얼 부팅하려면, 이 파티션을 유지하고 작은 HFS 파티션을 (최소 800KB) 두어야 합니다. MacOSX가 부팅할 때마다 맥오에스 파티션이나 드라이버 파티션이 들어 있지 않은 디스크를 초기화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