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사용하거나, 개인용, 가정용 등 기타 혼자서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
파티션 한 개를 (그리고 스왑 파티션도 사용) 이용하는 편이 가장 쉬우면서도 간단한 방법입니다. 하드디스크의 크기가 6GB보다 클 경우 파일 시스템을 EXT3으로 하십시오. EXT2 파티션은 주기적으로 파일 시스템이 올바른지 검사해야 하는데, 그러면 하드디스크의 크기가 클 경우 부팅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여러명이 사용하는 시스템이거나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큰 시스템에서는 /usr
, /var
, /tmp
, /home
각각을 /
파티션과는 별도의 파티션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데비안에 없는 프로그램을 많이 설치하려면 /usr/local
을 별도의 파티션에 두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메일 서버일 경우에는 /var/mail
을 별도의 파티션에 두는 것이 좋고, /tmp
역시 20–50MB 정도되는 별도 파티션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자가 많은 서버일 경우 /home
의 크기를 충분히 잡고 별도의 파티션에서 만드는 편이 좋습니다. 이렇게 파티션 구성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매우 복잡한 시스템의 경우, 멀티디스크 HOWTO를 참고하십시오. ISP나 서버 관리자가 관심있어할 만한 심도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스왑 파티션의 크기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생각이 다릅니다. 한 가지 방법은 시스템 메모리만큼 스왑 공간을 잡는 것입니다. 또 16MB보다 작으면 안 됩니다. 물론 이런 규칙에도 예외는 있습니다. 256MB 메모리가 들어 있는 컴퓨터에서 10000개의 수식을 동시에 풀려고 한다면, 스왑을 1GB (혹은 그 이상) 필요할 것입니다.
32비트 아키텍처에서는 (i386, m68k, 32비트 SPARC, PowerPC), 스왑 파티션 최대 용량이 2GB입니다. 2GB면 어떤 경우에도 충분한 용량입니다. 하지만 정말로 이만큼 많은 스왑이 필요하다면, 스왑을 디스크 여러 개에 나눠 보는 것도 좋습니다. 가능하면 여러 개의 SCSI 및 IDE 채널에 분산하면 더 좋습니다. 스왑 파티션을 여러 개 사용하면 커널이 알아서 작업을 분배하므로 시스템의 성능이 좋아집니다.
예를 들어 좀 오래된 컴퓨터에 램이 32 MB 있고 /dev/hda
에 1.7 GB짜리 IDE 하드디스크가 있습니다. 500MB짜리 /dev/hda1
에 다른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으며, /dev/hda3
는 32MB의 스왑공간으로 사용합니다. /dev/hda2
에는 1.2GB 용량에 리눅스를 사용합니다.
시스템 설치가 끝났을 때 얼마나 공간을 차지할 지 알고 싶으면, D.2절. “태스크마다 필요한 디스크 공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